본문 바로가기

권고사직 후 실업급여 신청 방법 총정리|서류·절차·주의사항

BK 뉴스 2025. 11. 3.
반응형

권고사직…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내가 잘못한 것도 아닌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지?”
그리고 가장 현실적인 고민,
실업급여는 어떻게 신청하지?

저도 그 시절 딱 같은 상황을 겪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권고사직 후 실업급여 신청 방법
처음부터 끝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면,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도
헤매지 않고 빠르게 진행하실 수 있어요.


✅ 권고사직 vs 자진퇴사 실업급여 차이

구분 권고사직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가능 여부 ✅ 가능 ⚠️ 일부 조건 충족 시 가능
인정 이유 회사 사정으로 퇴사 근로자 사정
이직확인서에 "권고사직" 명시 사유 입증 필요

핵심 포인트

회사 사유로 퇴사했음을 ‘문서’로 남기는 것
→ 실업급여 승인 확률 ⬆️


✅ 실업급여 신청 순서 (완전 쉬운 버전)

① 고용보험 가입 이력 확인

퇴직 전 18개월 중 고용보험 180일 이상 근무해야 해요.

고용보험 사이트 → 피보험기간 조회


② 회사에 "이직확인서" 요청

권고사직 사유가 이직확인서에 정확히 기재되어야 합니다.

요청 문구 예시
“고용보험 이직확인서에 권고사직 사유로 기재 부탁드립니다.”


③ 워크넷 회원가입 & 구직등록

실업급여는 ‘구직활동’이 기본이기 때문에
워크넷에서 구직등록 먼저!


④ 온라인 사전교육 수강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 앱에서
수급자 사전교육 영상 시청


⑤ 고용센터 방문 예약 → 수급신청

서류지참 👇

  • 신분증
  • 통장사본
  •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확인
  • 권고사직 증빙(있으면 더 좋음)

수급자격 인정 → 구직활동 시작 → 급여 지급


⑥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 인증

구직활동:

  • 입사지원
  • 면접참석
  • 직업훈련 등

→ 활동할 때마다 증빙필요


✅ 실업급여 지급 조건 요약

항목 기준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
퇴사 사유 회사 권고(비자발적)
구직 상태 취업 의사 + 능력 있어야
교육 이수 필수
실업인정 주기적으로 진행

 


✅ 꼭 기억해야 하는 팁

  • 📌 사직서 쓰지 않는 게 가장 안전
    → 회사 안내대로 ‘권고사직 처리’ 문서화
  • 📌 이직확인서 처리 지연되면 신청도 지연
  • 📌 신청은 퇴사 다음 날~1년 이내

🧾 정리 한 줄

권고사직 = 실업급여 가능
단, 이직확인서 + 사전교육 + 구직등록이 핵심!

실업급여는 ‘쉬는 돈’이 아니라
다시 일하기 위한 준비 자금입니다.

힘든 순간이지만,
지금은 잠시 숨 고르며 재도약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세요.
앞으로 더 좋은 기회가 분명 옵니다.
응원할게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