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특근, 야간, 야간특근! 근무별 수당 계산법 설명 총정리!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야근하거나 주말에 나가서 일한 적 있으시죠?
“일한 만큼 받아야지”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 얼마나 받아야 정당한 금액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특히 주간근무, 야간근무, 특근, 그리고 잔업(연장근무)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면계산 자체가 골치 아프죠. 그런데 이걸 제대로 몰라서 수당을 덜 받는
일이 꽤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본 시급을 기준으로
‘주간 특근’, ‘야간 근무’, ‘야간 특근’의 시간 외 근무 일당을
실제 예시와 함께 하나하나 쉽게 풀어드릴게요.
우선, 수당 계산에 필요한 기본 개념부터 잡고 가요
근무 수당을 제대로 계산하려면 용어부터 정리해야 해요.
다음은 실제 근무 환경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들입니다.
구분 | 시간대 | 예시 할증률 | 설명 |
주간근무 | 09:00 ~ 18:00 | 없음 | 통상적인 평일 근무시간 |
잔업(연장) | 하루 8시간 초과 | 50% 할증 | 기본 시급의 1.5배 |
야간근무 | 22:00 ~ 06:00 | 50% 할증 | 법정 야간수당 적용 |
휴일근무 | 주말 또는 공휴일 근무 | 50% 할증 | 휴일 근무에 대한 보상 |
야간특근 | 주말+야간 | 100% 할증 | 특근 + 야간 중복 적용 (x2.0) |
핵심 포인트는 할증률입니다.
야간이든 특근이든, 법적으로는 기본 시급의 50%를 추가 지급하도록 되어 있어요.
야간+특근이 겹치면? 할증도 겹쳐서 100%, 즉 기본 시급의 2배가 되는 거죠.
실제 예시 계산
(기본 시급은 10,000원으로 가정)
✅ A. 주간 특근 (주말 근무 + 잔업)
예시: 토요일 08:00~18:00 근무 (8시간 근무 + 2.5시간 잔업)
- 기본 근무: 8시간 × 10,000원 = 80,000원
- 잔업 수당: 2.5시간 × (10,000원 × 1.5) = 37,500원
- 특근 수당: 8시간 × (10,000원 × 0.5) = 40,000원
총 합계: 80,000 + 37,500 + 40,000 = 157,500원
👉 평소보다 일찍 출근하고 주말에 일했다면, 이 정도는 받아야 ‘정당한 보상’입니다.
✅ B. 야간 근무 (평일 밤 근무 + 잔업)
예시: 화요일 22:00~07:00 근무 (8시간 근무 + 2.5시간 잔업, 모두 야간)
- 기본 근무: 8시간 × 10,000원 = 80,000원
- 잔업 수당: 2.5시간 × (10,000원 × 1.5) = 37,500원
- 야간 수당: 10.5시간 × (10,000원 × 0.5) = 52,500원
총 합계: 80,000 + 37,500 + 52,500 = 170,000원
👉 밤샘근무는 몸도 마음도 힘든데, 그만큼 보상이 따로 있어야죠.
잔업까지 했다면 이 수당 꼭 확인하세요.
✅ C. 야간 특근 (휴일 밤 근무 + 잔업)
예시: 일요일 22:00~07:00 근무 (8시간 근무 + 2.5시간 잔업, 모두 야간 + 휴일)
- 기본 근무: 8시간 × 10,000원 = 80,000원
- 잔업 수당: 2.5시간 × (10,000원 × 1.5) = 37,500원
- 야간 + 특근 수당: 10.5시간 × (10,000원 × 1.0) = 105,000원
총 합계: 80,000 + 37,500 + 105,000 = 222,500원
👉 이건 말 그대로 최고 보상 받는 조건이에요.
휴일 + 야간 + 잔업까지? 몸값 2배 되는 날입니다.
현실적인 조언
실제 급여명세서를 보면, 이런 수당들이 하나도 빠짐없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회사에 따라 내부 규정이 다르고, 때론 아예 ‘구두 계약’만 있는 경우도 있죠.
그래서 반드시 체크해야 할 게 세 가지예요:
- 내 근무 시간이 법적으로 어떻게 분류되는지 확인
- 기본 시급 기준으로 얼마 받아야 하는지 계산
- 급여명세서에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검토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내가 얼마를 벌고 있는지, 왜 그만큼 받아야 하는지”**를
스스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몰라서 못 받는 건 없어야죠”
가끔 이런 질문을 받아요.
“야간에 일하고 주말까지 나갔는데, 그냥 기본급만 나왔어요. 원래 그런 건가요?”
절대 아닙니다.
노동법은 우리 편이고,
제대로 알고 요구할 권리는 근로자에게 있어요.
혹시 지금,
내 수당 제대로 받고 있는지 확신이 없다면?
지금 이 글을 참고해서 본인의 근무표와 비교해보세요.
소비쿠폰 편의점 사용 꿀팁 & 사용 가능 품목 상세 안내
도시락부터 생수까지, 실속템 총정리 꿀팁까지 알려드려요요즘 주변에서 “소비쿠폰 받았어?” 하는 얘기 많이 들리시죠?정부에서 우리 국민들의 생활 물가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마
second.bkbrokr.com
소비쿠폰 1차 미지급 대상자 총정리
내가 왜 미지급 대상이지?1. 소비쿠폰 지급 개요민생회복 소비쿠폰은 2025년 6월 18일 기준 국내 거주 모든 국민에게 지원하는 정책입니다.1차 지급: 2025년 7월 21일~9월 12일, 전 국민 대상(소득 및
second.bkbrokr.com
귀엽고 센스 있는 커플 티키타카! ‘우~까?’ 말장난 40선
사랑하는 연인과 톡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대화가 맴돌기 시작합니다. 그럴 때 필요한 건 단 하나! 바로 유쾌하고 재치 있는 ‘우~까?’ 말장난입니다. 커플들만의 센스 있는 티키타카, 바로 여
second.bkbrokr.com
인스타 AI 채팅 끄는법|알림 차단과 삭제로 불편 최소화하는 현실적인 방법
최근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유저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기능 중 하나가 바로 Meta AI 채팅입니다.인스타그램에 갑자기 AI 챗봇이 등장하면서, 기존 다이렉트 메시지(DM) 기능이 AI 중심으
second.bkbrokr.com
2026년 빨간날 총정리: 한눈에 보는 공휴일과 연휴 활용법,스마트 연차 전략
2026년의 달력을 미리 펼쳐보면, 뭔가 보이는 게 있습니다. 공휴일이 골고루 퍼져 있다는 것!직장인도, 학생도, 학부모도 한 해를 알차게 보내기 위해선 연초에 ‘연차 전략’을 세워두는 게 중요
second.bkbrokr.com
'스마트폰 활용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드형 vs 벽걸이형 vs 시스템 에어콘 전기료 비교(에어컨 하루 8시간씩 쓰면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 (2) | 2025.08.01 |
---|---|
하루 8시간 에어컨 돌리면 전기세 얼마? 무풍·인버터 모델별 비교 정리 (0) | 2025.08.01 |
소비쿠폰 편의점 사용 꿀팁 & 사용 가능 품목 상세 안내 (2) | 2025.07.31 |
인스타 AI 채팅 끄는법|알림 차단과 삭제로 불편 최소화하는 현실적인 방법 (1) | 2025.07.29 |
건설현장·택배기사 필독! 실시간 폭우 대비에 강한 날씨 앱 BEST 6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