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6년 24절기 언제?(+절기이름,의미,날짜)

BK 뉴스 2025. 8. 5.
반응형

절기 따라 흘러가는 우리네 한 해 이야기

 2026년 대한민국 24절기

"아이고, 벌써 입춘이래요. 봄이 오나 봐요."

그렇게 2026년 2월 4일, 입춘이 찾아옵니다. 아직 바람은 차갑지만, 봄기운이 살랑입니다.

대문에 '입춘대길' 써 붙이며 한 해의 복을 빌어보죠.

며칠 지나 2월 19일, 우수가 오면 눈 대신 봄비가 뚝뚝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이제 논밭에 물 돌겠네"라고 할아버지는 말씀하시죠.

3월 6일, 경칩. 겨울잠 자던 벌레들이 기지개를 켜는 날입니다.

땅속 생명들이 꿈틀대기 시작해요. 집 앞 개미들도 하나둘 기어나옵니다.

3월 21일, 춘분. 밤과 낮이 같아지는 시기. 봄볕이 따뜻해지면, 할머니는 시금치, 냉이를 삶아 밥상에 올립니다.

4월 5일, 청명. 하늘이 유난히 맑고 푸르른 날. 묘지 손질하며 조상님께 인사를 드리는 시기입니다.

4월 20일, 곡우. 이때 내리는 비는 곡식 농사에 큰 복이 되지요. 농부들은 마음이 분주해집니다.

5월 5일, 입하. 여름이 시작됩니다. 햇살이 따사롭고, 아이들은 반팔을 입고 뛰어놀기 시작해요.

5월 21일, 소만. 만물이 점차 자라고 들판은 초록으로 물듭니다. "이제 여름 준비해야지"라는 말이 나오죠.

6월 5일, 망종. 보리, 밀 같은 이삭 있는 곡식은 이때 심고 거둬야 합니다. 모내기도 시작되고 농촌이 바빠집니다.

6월 21일, 하지.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 해가 지지 않을 것 같은 날이죠.

저녁밥 먹고도 동네 한 바퀴 산책을 할 수 있어요.

7월 7일, 소서. 더위가 슬슬 고개를 듭니다. 선풍기를 꺼내고 얼음물 찾게 되죠.

7월 22일, 대서. 말 그대로 큰 더위. 땀범벅 되는 날이 많고, 삼계탕 한 그릇으로 원기 회복을 합니다.

8월 7일, 입추. 아직 더운데 가을의 시작이라니. 입추라고 무시하다가 어느 순간 시원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8월 23일, 처서. 더위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합니다. 모기 입도 비뚤어진다는 말이 떠오르는 때죠.

9월 7일, 백로. 풀잎에 이슬이 맺히고 가을 분위기가 무르익습니다. 걷기 좋은 계절입니다.

9월 23일, 추분. 낮과 밤의 길이가 다시 같아집니다. 가을이 깊어지고 책 읽기 딱 좋은 날씨가 됩니다.

10월 8일, 한로.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고 아침저녁이 꽤 쌀쌀해집니다. 옷장 속 긴팔을 꺼내야 해요.

10월 23일, 상강. 서리가 내리고 첫 냉기가 다가옵니다. 감기 조심해야 할 시기입니다.

11월 7일, 입동. 겨울의 문턱에 들어섭니다. 김장 시즌도 시작되고, 사람들 옷차림이 점점 두꺼워집니다.

11월 22일, 소설. 첫눈이 슬며시 내릴 수 있는 시기. "오늘 같은 날 첫눈 보면 사랑이 온대"라는 말도 떠오르죠.

12월 7일, 대설. 본격적으로 눈이 쌓이는 계절. 눈사람 만들기 좋은 날입니다.

12월 22일, 동지.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팥죽을 쑤어 먹으며 액운을 막고 복을 기원합니다.

1월 6일, 소한. 본격적인 겨울 추위의 시작입니다. 찬 바람이 뼛속까지 스며듭니다.

1월 20일, 대한.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 "대한이 지나면 봄이 머지않았지"라는 말로 위안을 삼습니다.

그리고 다시, 2월 4일 입춘이 돌아오면,
이렇게 또 한 해가 시작됩니다.

 2026년 대한민국 24절기 정리표

순번 절기명(한자) 의미 양력 날짜
입춘 (立春) 봄의 시작, 새해 농사 준비 시작 2월 4일 (수)
우수 (雨水) 눈이 녹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 2월 19일 (목)
경칩 (驚蟄) 겨울잠 자던 벌레가 깨어나는 때 3월 6일 (금)
춘분 (春分)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3월 21일 (토)
청명 (淸明) 하늘이 맑고 밝아지는 날, 묘지 정비 시작 4월 5일 (일)
곡우 (穀雨) 곡식을 위한 봄비가 내리는 절기 4월 20일 (월)
입하 (立夏) 여름의 시작 5월 5일 (화)
소만 (小滿) 만물이 점차 성장하는 시기 5월 21일 (목)
망종 (芒種) 이삭이 있는 곡식을 심고 모내기 시작하는 시기 6월 5일 (금)
하지 (夏至)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 6월 21일 (일)
소서 (小暑)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7월 7일 (화)
대서 (大暑)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 7월 22일 (수)
입추 (立秋) 가을의 시작, 더위가 꺾이기 시작함 8월 7일 (금)
처서 (處暑) 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해짐 8월 23일 (일)
백로 (白露)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가을 느낌 시작 9월 7일 (월)
추분 (秋分) 낮과 밤의 길이가 다시 같아짐 9월 23일 (수)
한로 (寒露) 찬 이슬이 맺히고 날씨가 점점 추워짐 10월 8일 (목)
상강 (霜降)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10월 23일 (금)
입동 (立冬) 겨울의 시작 11월 7일 (토)
소설 (小雪) 첫눈 또는 가벼운 눈이 내림 11월 22일 (일)
대설 (大雪) 본격적인 큰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 12월 7일 (월)
동지 (冬至)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12월 22일 (화)
소한 (小寒) 겨울 추위의 시작, 본격적인 한파 전 단계 1월 6일 (화)
대한 (大寒)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 1월 20일 (화)

 표 보는 팁

  • 날짜는 2026년 기준 양력 날짜입니다.
  • 절기는 음력 기준이 아니라 **태양의 위치에 따른 절기(태양력)**로 고정되어 매년 ±1일 차이만 있습니다.

절기는 단순히 날짜가 아니라,
우리 삶을 가늠하고 준비하게 해주는 자연의 리듬이자,
세월을 느끼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였습니다.

지금 이 시대에도 그 절기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소중한 '리듬'이 되어줄지 모릅니다.

 

2026년 삼복날 초복, 중복, 말복 언제?(+날짜,의미,유래,결정방법)

한여름, 기운이 무너질 듯할 때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7월… 어느덧 땀방울이 얼굴을 따라 흘러내리고, 아이스크림이 어디서나 친구가 되는 시기죠. 그러던 중 친구가 “야, 초복 언제야

second.bkbrokr.com

 

 

주민등록사실조사, 꼭 참여해야 하나요? 불참 시 불이익 총정리

주민등록사실조사, "그냥 넘어가면" 큰일 납니다며칠 전, 우리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에 공고문 하나가 붙어 있더군요.‘주민등록사실조사 실시 안내’라고 적혀 있었죠.처음에는 그냥 또 하나

second.bkbrokr.com

 

 

스탠드형 vs 벽걸이형 vs 시스템 에어콘 전기료 비교(에어컨 하루 8시간씩 쓰면 전기세 얼마나 나

벽걸이형부터 시스템 에어컨까지 리얼 비교해봤어요!여름이 다가오면 누구나 하는 고민 하나.“에어컨, 틀어야 할까? 참아야 할까?”그 중심엔 항상 전기세 걱정이 따라붙습니다.특히 요즘은

second.bkbrokr.com

 

 

주간, 특근, 야간, 야간특근! 근무별 수당 계산법 설명 총정리!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야근하거나 주말에 나가서 일한 적 있으시죠? “일한 만큼 받아야지”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 얼마나 받아야 정당한 금액인지헷갈릴 때가 많습니다.특히 주간

second.bkbrokr.com

 

 

하루 8시간 에어컨 돌리면 전기세 얼마? 무풍·인버터 모델별 비교 정리

브랜드별 전기요금 비교까지 싹 정리!요즘 같은 여름엔하루라도 에어컨 없이 버티기 쉽지 않죠.하지만 에어컨 리모컨을 집어 드는 순간딱 떠오르는 한 가지…“전기세 얼마나 나올까?”특히 무

second.bkbrokr.com

 

20대 자취, 전세 vs 월세 뭐가 더 좋을까? 현실 비교 정리

스무 살이 넘어 자취를 처음 시작할 때,누구나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게 있습니다.“전세로 갈까? 월세로 살까?”저 역시 23살 때,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오며처음 방을 구하러 다녔을 때 이 고민에

second.bkbrokr.com

 

 

반응형

댓글